Enum '열거형'이라는 것인데 이걸로 숫자나 문자의 집합체를 만들 수 있다. enum을 사용하면 값을 읽기 쉽고 오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. 하지만 enum은 컴파일러가 ts를 js로 변환할 때 객체를 생성하는데, enum을 많이 사용하지 말아야 할 이유가 이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있다. -숫자형 enum enum Animal { Cat = 1, Dog = 2, Rabbit = 5, } auto-incrementing 으로 자동으로 0에서부터 1씩 증가하며 적용된다. 위처럼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. -문자형 enum enum Animal { Cat = 'cat', Dog = 'dog', Rabbit = 'rabbit', } http 요청 방식과 같은 외부에서 가져온 값을 다루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. ..
타입스크립트란? 공식 문서에 따르면 javascript에 typescript 구문을 추가함으로서 에디터의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도구 정도 되겠다. 다른 언어를 손 대 본 사람이라면 금방 알겠지만 javascript의 가장 큰 단점이 타입에 대해 엄격하지 않다는 것이다. javascript를 배우기 전에 c언어에 발가락만 살짝 담궈봤던 나도 느낄 정도로 javascript는 타입에 관대하다. 예를 들면 javascript는 string 더하기 number 같은것도 해준다('abc' + 10 => 'abc10'). 그리고 값이 string이었던 변수에 number를 재할당 할 수도 있다. 기억이 많이 사라졌지만 c언어에서는 사용할 값의 자료형에 맞게 변수를 선언해줬어야 했다 (int num =1, char s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